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8

[중소기업청년의 정부정책 알아보기]청년도약계좌

안녕하세요. 중기청년입니다. 날씨가 풀린 거 같은데 바람이 아직 쌀쌀하네요. 주변에서 감기나 폐렴 걸린 지인들이 있던데 몸관리 잘 하시고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위 이미지는 2024년 2월 4일 KBS 기사입니다. 벌써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관심이 커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먼저, 간단하게 청년도약계좌가 무엇인지, 어떤 목적으로 만들었고 해당 계좌가 도입된 배경과 이로써 정부의 목표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정의와 목적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국정과제91)을 위해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으로 사회 출발 시 자립할 수 있는 기반 마련”라고 나와 있는데요. 여기서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국정과..

정부정책 2024.02.09

[금융이야기][화폐#3] 화폐의 등장 - 지폐

저번 시간에 "화폐의 등장(금속화폐 등장)"까지 이야기하였습니다. 대표적인 금속화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금과 은이 있습니다. 먼저 은입니다. 동양에서는 청동이 먼저 사용되었지만, 고대 그리스에서 은을 일정한 무게로 동전을 찍어낼 생각을 했습니다. 은의 사용은 그리스를 더 번창하고 강대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그 이유는, 은으로 그리스 해군을 키워 패권을 장악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금입니다. 금은 너무 연해 무기로 사용할 수 없지만 장식품으로 만들기 쉽고 녹슬지 않습니다. 이에 비해, 은은 까맣게 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은보다 금을 더 선호했습니다. 현재도 그렇죠. 이런 금을 모든 물건의 가치 기준이 되는 화폐 제도인 "금본위 제도"는 로마 시대에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금속화폐에서 지폐로 금은 화폐..

[금융이야기][화폐#2] 화폐의 등장

화폐(돈)의 등장 인류도 발전하여 어느새, 노동의 분업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쇠를 녹여 공구나 무기를 만들고 고치고 하는 대장장이, 농작물을 심고 가꾸고 수확하는 농부, 젖소의 우유를 짜 우유를 생산 및 판매하는 낙농업자 등 각자 맡은 업무가 나눠지기 시작했습니다. 생활하는 도중, 자신이 필요하지만 자신에게 없는 물건을 얻기 위해, 자신의 물건과 원하는 물건을 가진 사람과 물물교환이 이뤄지던 과정을 거쳤습니다. 하지만, 이런 교환 과정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 상황이 오게 되었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처음 물품 화폐가 생겼습니다. 소금덩어리, 가죽, 조개껍데기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물품 화폐도 단위가 크거나 원거리를 통한 거래 시에는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이윽고 금속으로 만든 화폐가 등장하..

[금융이야기][화폐#1] 화폐(돈)이란 무엇일까요?

화폐(돈)이란 무엇일까요? 전 세계에는 수많은 화폐가 존재합니다. 원, 달러, 프랑, 유로 등 우리가 생각나는 외국의 화폐의 개수만 해도 5가지 이상은 떠올릴 수 있습니다. 실제는, 더 많지만요. 앞서 돈이라는 것은 가치의 수단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아는 화폐들은 서로 같은 가치를 가질까요? 과거의 화폐와 현재의 화폐는 같은 가치를 가질까요? 아니면, 서로 다를까요? 옛날의 화폐와 현재의 화폐는 서로 다를까요? 어떤 차이가 존재하나요?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는 화폐일까요? 화폐(돈)가 가치를 가지기 위한 조건이 무엇이 있을까요? 대한민국에서 새로운 화폐를 유통시켜 사람들이 사용하게끔 하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이 전제가 돼야 할까요? 예를 들어, "지역 경제..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5]편의과 비용

#1 생활과 돈 https://keencider.tistory.com/18 #2 희소성과 선택 https://keencider.tistory.com/19 #3 상충 https://keencider.tistory.com/20 #4 기회비용 https://keencider.tistory.com/21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한 번쯤 이상 들어본 명언이죠. 문장의 생김새가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선택"에 대한 명언은 구글링만 해봐도 우르르 쏟아질 정도로 많습니다. 그만큼 공감되는 명언이며 사랑받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우리가 사는 실생활에서도 소소하게 많은 선택의 순간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너무 좋아하고 보고 싶은 예능 프로가 있는데, 그날 약속 제의가 온다거나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일이..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4]기회비용

이전 상충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기회비용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나 블로그를 참고해주세요.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3] 희소성과 선택-2 목표 상충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 중에 이런 흔한 질문을 받으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참 유치하다고 생각을 했지만, 어느 것 하나 keencider.tistory.com 직장인이나 대학생이나 혹은 가족 외식을 하는 등 사람들과 혹은 혼자서 식사를 하기 위해선 먼저 해야 할 순서 있습니다. 바로, 무엇을 먹을지입니다! 보통 "뭐 먹을래?, 아니면 "오늘 뭐 나오냐" 등으로 식사 메뉴를 정하려고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우리가 매일 살아가는 일상..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3] 상충

목표 상충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 중에 이런 흔한 질문을 받으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참 유치하다고 생각을 했지만, 어느 것 하나를 반드시 선택해야 할 거 같은 느낌을 저는 받았습니다. 독자분들 중에 하나의 보기를 뚜렷하게 선택하실 수 있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어릴 때 저는 지금의 저보다 주관이 부족하고, 선택하면 상대방에게 피해가 갈 거 같은 마음에 억지로 보기를 골랐던 적이 있었습니다. 아무튼, 하나만 고르라는 법이 없다면, 둘 다 좋다고 해도 되죠. 그럼 다음 질문을 드려보겠습니다. 길을 가다가 혼자 있는 골목을 지나가는데, 눈앞에 돈이 떨어져 있습니다. 1만 원짜리와 5만 원짜리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떤 것을 고르시겠습..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2] 희소성과 선택

돈 이해하기 2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희소성과 선택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먼저, 자유재입니다. 자유재는 말 그대로 자유롭게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재화나 물질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숨 쉬는데 필요한 공기와 따뜻한 햇살 같은 것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저 어릴 때만 하더라도 물을 사 먹는걸 어색하다는 식으로 어른들이나 뉴스에서 이야깃거리로 듣기도 했는데 이제는 어느 물이 더 몸에 좋은지, 어느 물이 나의 가치를 올려주는 느낌을 주는지에 대한 만족감 등 여러 다른 요소가 생겼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어느 미래에는 과거에는 자유재였던 것이 바뀌는 순간이 있을까요? ‘맑은 공기 팝니다’...지리산 ‘청정 공기캔’ 출시 - 뉴스토피아 [뉴스토피아 = 최수희 기자] 깨끗한 생수를 사먹는 것도 모자라 ..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1] 생활과 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돈이 없어진다면 어떨까요? 최근 뉴스에서 보았는데 개인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에 대한 순위가 매겨져 있었다. (각 나라별로) 우리나라는 어땠을까? 1위가 돈이고 2위가 가족이었다. 몇 년 전까지 1위가 가족이고 2위가 돈인 순위였는데 최근 들어 이렇게 다른 순위 변화가 일어났다고 한다. 관련 기사 | https://www.ajunews.com/view/20211122150923594 [아주 돋보기] 가족‧건강보다 '돈'에 진심인 한국인들...17개국 중 유일 | 아주경제 전 세계 17개국을 대상으로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요소가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한국만 유일하게 ‘물질적 행복(material well-being)을 내세운 것으로 나타... www.ajunews.com 이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