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식/경제공부

[금융이야기][돈 이해하기#5]편의과 비용

극락조 2022. 4. 22. 07:27
반응형

<돈 이해하기 시리즈>

#1 생활과 돈
https://keencider.tistory.com/18

 

#2 희소성과 선택
https://keencider.tistory.com/19

 

#3 상충
https://keencider.tistory.com/20

 

#4 기회비용

https://keencider.tistory.com/21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한 번쯤 이상 들어본 명언이죠. 문장의 생김새가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선택"에 대한 명언은 구글링만 해봐도 우르르 쏟아질 정도로 많습니다. 그만큼 공감되는 명언이며 사랑받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출처: 좋은글봇,

 

 

 

 

 

 

 

우리가 사는 실생활에서도 소소하게 많은 선택의 순간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너무 좋아하고 보고 싶은 예능 프로가 있는데, 그날 약속 제의가 온다거나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일이 생긴다거나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러 상황이 있을 수 있겠죠?) 

 

 

 

 

그 예능 보기 위해 TV 시청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풀 수 있지만, 사는데 더 우위적으로 중요한 일을 못 할 수 있고, 그 반대로 더 중요한 일을 함으로써 고비를 넘기고 그 이후에 편한 마음으로 예능 프로를 볼 수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스마트폰 광고입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자주 마주치고 불편함을 유발하기도 하는데요. 임의의 앱을 다운로드하여 잘 쓰다 보면, 광고가 어떤 타이밍마다 계속 뜹니다. 우리는 이 앱에 광고를 제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지불하면 광고를 안 보고 사용할 수 있고, 아니면 계속 광고를 시청하면서 앱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람마다 다른 선택을 하겠지만, 대략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이용권을 구매한다.

2. 광고를 시청하면서 앱을 사용한다.

3. 앱을 삭제한다.

 

 

 

 

 

 

 

 

기분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각 선택지를 사용함에 따라 어떤 만족과 기회비용을 얻게 될지 개인의 기준에 맞추어 선택할 것입니다. 이렇듯, 선택할 때 얻는 만족을 흔히 "편익"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적금을 가입할 때도 똑같습니다.

 최근에 나온 "청년희망적금"도 은행마다 금리나 혜택들이 달라 여기서, 새로운 은행 계좌를 트는 경우도 생길 수 있고, 기존 거래 은행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의 기준은 금리에 따라 추후 만기 때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출처: 한경

 

 

 

 

 

 

 

 

이렇듯, 우리가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는 편익비용을 따져 선택하는 것을
우리는 합리적 선택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합리적인 선택을 하셨나요? 
아직 고민 중이신가요?

 

 

 

 

 

 

 

 

그 고민이 주는 편익과 비용을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